맨위로가기

이와미 은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미 은광은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 은이 발견된 이후, 하카타 상인 가미야 히사사다에 의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17세기 초 연간 약 38톤의 은을 생산하며 전 세계 은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번성했으나, 에도 시대 말기에는 채산성이 떨어졌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광산 마을과 은 운송을 위한 시설, 교통로 등이 포함된다. 현재는 관광객 감소, 교통 불편, 환경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마네현의 지리 - 산인 지방
    산인 지방은 혼슈 주고쿠 지방 북부의 동해에 면한 지역으로, 좁게는 돗토리현과 시마네현을, 넓게는 교토부, 효고현, 야마구치현 일부를 포함하며, 고대 산인도로 교토와 연결되었고, 신사와 신화가 많이 남아있지만 경제적으로 덜 발달하고 인구가 감소하는 특징을 지닌다.
  • 이와미국 - 쓰와노성
    쓰와노성은 가마쿠라 시대에 축성되어 센고쿠 시대와 에도 시대를 거치며 개축된 산성으로, 폐성 후 해체되었지만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석벽과 망루 일부가 남아 관광지로 활용되며 일본 100명성으로도 선정되었다.
이와미 은광
위치 정보
시미즈다니 정련소 유적
가마야 마부 광갱
기본 정보
이름이와미 은광
로마자 표기Iwami Ginzan
한자 표기石見銀山
위치오다, 시마네 현, 일본
일부이와미 은광과 그 문화경관
유네스코 등재 기준(ii), (iii), (v)
ID1246bis-001a
좌표35°06′26″N 132°26′15″E
등재 연도2007년
확장 연도2010년
면적317.08 헥타르
세계 유산 개요
일본어 이름石見銀山遺跡と
その文化的景観
영어 이름Iwami Ginzan Silver Mine and its Cultural Landscape
프랑스어 이름Mine d'argent de Iwami Ginzan et son paysage culturel
국가일본
분류유적 (문화 경관)
면적 (총)529.17 헥타르
완충 지역 면적3,134 헥타르
유네스코 기준(2), (3), (5)
등록 년도2007년 (제31회 세계유산위원회)
비고2010년에 경미한 변경.
유네스코 ID1246
유네스코 링크안내 (유네스코)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이와미 은광 및 문화경관
설명이와미 은광
등록 구분문화유산

2. 역사

이와미 은광은 1526년 일본 상인 카미야 주테이에 의해 발견되어 개발되었다. 주테이는 나중에 한국식 은광 채굴법인 회취법을 도입했다. 이 광산은 17세기 초에 최고 생산량에 도달하여 연간 약 38톤의 을 생산했는데, 당시 일본의 연간 은 생산량은 약 200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3]

이 광산에서 생산된 은은 일본에서 화폐로 널리 사용되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의 결과로 도쿠가와 막부가 이 광산을 장악할 때까지 여러 다이묘들이 이 광산을 격렬하게 다투었다.[3] 이후에는 울타리와 소나무 숲으로 막혀 보호되었으며, 광산 단지 중앙에는 야마부키 성이 건설되었다.[3]

19세기에 들어 은 생산량은 감소했는데, 세계 다른 지역의 광산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 후 구리와 같은 다른 광물의 채굴이 은을 대체했다. 결국 이 광산은 1923년에 폐광되었다.

광맥은 석견국 동부, 현재 시마네현 오다시 오모리 지방을 중심으로, 같은 시 니마정과 온센즈정에도 걸쳐 있었다. 1969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 6월 28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개최된 제31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되어 7월 2일에 정식 등재되었다. 은광 개발에는 은 제련을 위해 다량의 땔나무용 목재가 필요했지만, 이와미 은광에서는 적절한 삼림 관리가 이루어져 환경 부담이 적었고, 오늘날까지 은산 일대에 활엽수림이 남아 있는 점이 특히 평가받고 있다.[6] 2007년에는 일본의 지질 백선에도 선정되었다.

초기에는 선노산(별칭: 은봉산) 정상 부근에서 은광석 노두 채굴이 이루어졌다. 이와미 은광에서는 은광석을 '''복석'''(ふくいし)이라고 불렀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광맥을 따라 지하 깊숙이 채굴이 진행되었지만, 에도 시대의 채굴로 양질의 은광석이 고갈되어 후대에는 황동광, 황철광, 방연광 등 광석을 주체로 하는 '''영구광상'''(えいきゅうこうしょう) 채굴로 이행하였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1600년 11월 이와미 은광을 접수하기 위해 오쿠보 나가야스와 히코사카 모토마사를 파견하여 에노 강 동쪽 지역을 막부 직할령(천령)으로 삼고, 1601년 8월에 초대 은산 봉행으로 오쿠보 나가야스를 임명했다.[21] 은산 개발 비용과 자재(연료 등) 충당을 위해 주변 향촌에는 직할령인 이와미긴잔령(약 5만 석)이 설치되었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야마부키 성 하야시키가 있던 기스파쿠 진야에서 통치했지만, 후임인 타케무라 단고노카미에 의해 오모리에 봉행소가 설치되었다.[23]

1731년 오오카 다다스케의 추천으로 제19대 대관에 임명된 이도 마사아키라는 60세의 고령과 2년의 짧은 재임 기간에도 불구하고, 영민들로부터 "고구마 대관"으로 존경받았다. 이토는 교호 대기근으로 고통받는 영민들을 위해 사쓰마 번에서 고구마를 도입하여 보급했다.

1977년 스기모토 손코는 이토를 소재로 한 소설 『종언』(終焉)을 발표했다.

이와미 은광은 1868년 다이조칸 포고에 의한 민간 매각으로 다나카 기타로가 경영권을 취득했으나, 1872년 하마다 지진 피해로 휴산되었다.[31] 이후, 1886년부터 오사카의 후지타그룹에 의해 재개발 시도가 계속되었으나, 1943년 수해로 갱도가 수몰되어 폐산되었다.

2015년 현재, 은광 채굴을 위해 파낸 ‘마부(間歩)’라 불리는 갱도와 배수갱이 700여 개 확인되었다.

2. 1. 발견과 초기 개발

가마쿠라 시대 말기(1308년 ~ 1310년)에 스오의 오우치 히로유키가 이와미를 방문했을 때 은을 발견했다는 이야기가 《긴잔규키(銀山旧記)》등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이와미 은광을 본격적으로 개발한 사람은 하카타의 상인 가미야 히사사다이다.[81]

가미야 히사사다는 바다에서 산이 빛나는 것을 보고, 영주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과 이즈모의 동광산을 운영하는 미시마 세이에몬의 협력을 얻어 1526년 3월 긴푸 산의 산허리에서 지하 은을 채굴했다. 《石見銀峯山清水寺天地院縁起》에 따르면, 이때의 발견은 바다에서 산이 빛나는 것을 본 히사사다가 이끈 결과였다고 한다.[10][11]

1530년 오우치 요시오키 사후, 오우치 요시타카규슈 공략에 집중하는 동안 지방의 소영주 오가사와라 나가타카가 은광을 탈취하였지만, 3년 후 다시 오우치 가문에 귀속되었다. 오우치 가문은 주변에 야마부키 성을 쌓아 광산 경영의 거점으로 삼았다.

1533년 8월, 가미야 히사사다는 조선에서 유입된 은 제련기술인 회취법[82]을 오모리에서 처음 성공하였다.[83] 그 결과, 효율적인 은 채취가 가능해졌고, 이 기술은 전국으로 퍼져 일본의 은 채취에 크게 공헌하였다. 회취법이 확립되기 전에는 니마 정, 유노쓰 정에서 광석을 채굴하여 은을 채취하였다.

2. 2. 은광 쟁탈전

1537년 이즈모의 아마고 쓰네히사가 이와미를 공격하여 은광을 빼앗았다. 2년 후 오우치 가문이 탈환했지만, 그 2년 후 아마고 가문이 오가사와라 가문을 이용해 다시금 은광을 점령했다. 은광을 둘러싼 양 가문의 쟁탈전이 계속되었다.[14] 오우치 요시타카 사후, 모리 모토나리가 오우치 가문의 뒤를 이어 아마고 가문과의 은광 쟁탈전을 전개했다.

1556년 시노하라 전투, 1559년 고우로자카 전투 등에서는 아마고 가문이 승리하여, 하루히사가 살아있는 동안 모토나리는 이와미 은광을 탈취하지 못했다. 그러나 1561년 하루히사가 급사하고, 뒤를 이은 요시히사는 1562년 모리 가문과 "이와미 불간섭"을 약조한 운게이 와고를 맺었다. 이로써 최종적으로 모리 가문이 승리하여 이와미 은광을 완전히 손에 넣었다.[14]

1584년 모리 가문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복속하면서 은광은 모리 가문과 도요토미 가문이 공동으로 관리하게 되었으며,[16] 임진왜란 때의 군자금은 여기서 충당되었다.[16]

2. 3. 에도 막부 시대

세키가하라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와미의 에노 강 동쪽 지역을 막부 직할령으로 삼았고, 초대 은광 관리인으로 오쿠보 나가야스를 임명했다.[85] 나가야스는 광산 경영자로 야스하라 덴베를 두어 이와미 은광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이에야스는 막대한 은을 토대로 해외 무역을 하였다. 은광 개발 비용, 자재를 충당하기 위해 주변 마을을 직할령으로 삼아 오모리에 행정 집행소인 부교쇼를 설치했다.[86] 야스하라 덴베가 가마야 갱도를 발견함에 따라 17세기 초의 은 산출량은 최고조에 달했다. 《당대기》(当代記)에 따르면, 1602년 상납된 은은 4 ~ 5천 관에 달했다고 한다.[87] 그 후, 은 산출량은 점차 감소하였고, 1675년 은광 집행소의 관직인 오모리 다이칸의 지위를 낮추었다.

당초 산출된 은은 현재 오타 시의 니마 정과 유노쓰 정으로부터 배로 반출되었다. 겨울이면 동해 쪽의 계절풍이 강해 항해에 어려움이 많았기 때문에 오쿠보 나가야스는 오모리로부터 오노미치까지 주고쿠 산지를 넘어 세토 내해에 다다르는 육로를 정비하였고, 오노미치로부터 교토 후시미의 긴자(銀座)로 운송하였다. 이들 육로가 지나는 길의 각 마을 주민들은 노역을 제공하여야 했기 때문에 큰 부담이 되었다. 경우에 따라서 소송과 쟁의가 일어났지만, 이 수송은 막부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1731년 오오카 다다스케의 천거에 따라 임명된 제19대 다이칸 이도 마사아키라는 60세의 고령과 임기 2년에도 불구하고 영민으로부터 "이모 다이칸"으로 공경받았으며, 현재 시마네 현뿐만 아니라, 돗토리 현, 히로시마 현에서도 그의 공덕을 기리는 많은 공덕비가 건립되어 있다. 그는 교호 대기근으로 고통받는 영민을 위해 사쓰마 번으로부터 고구마를 도입하여 보급하였고, 기근이 있을 때는 자신의 재산과 유복한 농민으로부터 쌀을 샀고, 막부의 허락을 받지 않은 채 다이칸의 미곡 창고를 열어 곡식을 풀었고, 영민들의 연공을 면제 또는 감면해 주었다.

이와미 은광은 에도 시대 전기에도 일본의 팽대한 은 수요를 지탱하였고, 동도 산출했지만, 17세기 말이 되자 점차 산출량이 줄어들어 에도 말기에는 깊게 파지 않으면 은이 산출되지 않을 정도로 되었으며, 지하수 누수 문제도 있어 채산성이 떨어졌다.

1866년 음력 6월 제2차 조슈 전쟁에서 막부는 이와미 국에 기슈 번, 빈고 후쿠야마 번, 하마다 번, 마쓰에 번의 병사를 보냈지만, 조슈 군의 무라다 조로쿠(후의 오무라 마스지로) 부대를 저지하지 못했고, 음력 7월 하마다 성이 함락되었다. 조슈 군의 이와미 은광 영지로의 진격을 예상한 이와미 은광의 오모리 다이칸 나베타 세이켄은 음력 7월 20일 밤, 빗추 국 구라시키로 도주하였다. 이로써 이와미 은광의 막부 지배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88]

이후, 옛 이와미 은광 영지는 조슈 번에서 관리하였고, 1868년 음력 1월 이와미 은광의 영지가 막부로부터 조슈 번에 위탁된 후, 1869년 음력 2월 오모리 현이 설치되어 조슈 번에 의한 관리는 막을 내렸다.[89]

류겐지 막부(광산 갱도)


은산가도 도모가우라도

2. 4. 메이지 시대 이후

1868년 다이조칸(太政官) 법령에 따라 이와미 은광은 민간에 매각되었고, 다나카 요시타로가 경영권을 취득하였다.[90] 하지만 1872년 하마다 지진 피해로 휴광하였다.[91]

1887년부터 오사카시의 후지타구미(현 도와 홀딩스 주식회사)가 재개발을 시도하여 채광시설, 사무소 등을 오모리에서 고지 계곡으로 이전하였다. 그러나 1923년 구리 가격 폭락과 광산 내 환경 악화 등으로 휴광하였다.[92]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 중에는 군수물자인 구리의 국산화를 위해 1941년 구리 채광을 재개했지만, 1943년 수해로 갱도가 수몰되어 폐광되었다. 광업권은 도와 홀딩스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다가 2006년 시마네현에 양여되었다.

현재 은광 채굴을 위해 판 “마부(間歩일본어)”라고 불리는 갱도 500여 개가 남아있고, 류겐지 마부(龍源寺間歩일본어)의 일부가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3. 상업적 영향

이와미 은광 개발은 일본 경제의 상업적 발전과 시기가 겹친다. 이 때문에 정련, 가공된 은인 조긴은 기본적으로 통화로 유통되었다. 16세기 후반 마카오를 거점으로 활동한 포르투갈17세기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네덜란드와의 교역에도 사용되었다.[84] 당시 이와미 은광에서 생산된 은의 양은 전 세계의 1/3에 달했으며, 스페인 식민지였던 현재 볼리비아 포토시의 세로 리코 은광과 함께 세계적인 은 산지로 널리 알려졌다.[84] 조긴은 칭량화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원형이 남아있는 것은 매우 드물다.

이와미 은광의 번성은 당시 지도에도 "은광 왕국"으로 표시된 것에서 알 수 있다. 항해술의 발달로 서유럽의 왕들, 특히 스페인 국왕은 이슬람권으로부터 입수한 지도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를 가진 함선들이 인도, 말레이 반도, 중국, 일본으로 무역을 확장하며 이와미 은광에서 산출된 은을 요구하였다.

은광을 차지한 오우치 가문, 아마고 가문, 모리 가문, 도요토미 가문은 이들 해외 여러 나라와 적극적으로 무역을 하였으며, 그 수입품 중에는 당시 귀중품이었던 화승총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국과 네덜란드 함선은 이와미에서 산출된 은을 "소마 은"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은광이 있는 오모리 지구의 옛 이름인 사마(佐摩)에서 유래한 것이다.[20] 이 은은 동아시아에서 높은 거래 신용을 얻었다. 17세기부터 이 광산의 은으로 만든 은화는 일본 내 기본 통화 중 하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포르투갈, 네덜란드와의 무역 통화로도 사용되었다.

4. 세계유산

오모리 은산 마을


광산 마을 일부는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일본 정부는 1969년에 이곳을 중요 전통적 건축물 군 보존지구로 지정했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이와미 은광 개발은 지속 가능한 벌목 관리로 인해 삼림 벌채와 토양 침식이 적었으며, 토양 및 수질 오염도 적었다. 이는 세계유산 선정 이유 중 하나였다. 또한 2007년 일본의 100대 지질 명소로 선정되었다.

2008년 10월 20일, 세계유산 조약 제5조에 따라 방문객 시설(비지터 센터) 정비 및 개별 자산에 대한 설명과 정보 제공을 하는 이와미 은산 세계유산 센터가 은산 울타리 내 동부에 개설되었다.

1976년(쇼와 51년)에는 메이지 시대 건물을 이용하여 이와미 은산 자료관이 개관했으며, 2022년 4월 1일 세계유산 센터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시 내용을 재검토하여 '''고구마 대관 박물관'''이라는 애칭으로 리뉴얼 오픈했다. 전시의 중심은 이와미 은산의 대관을 지낸 이토 헤이자에몬 마사아키이며, 고구마 재배를 장려하여 "고구마 대관"으로 불렸다.[50]

4. 1. 세계유산 등재 과정

일본 정부는 200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잠정목록에 이와미 은광을 게재하고, 2006년 1월 정식 추천서를 제출했다.[36] 이와미 은광은 "동서 문명 교류에 영향을 준 자연과 조화로운 문화적 경관을 형성한 세계에 유례가 없는 광산"으로 평가받았다.[37]

2007년 5월, 유네스코 자문기관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이와미 은광이 현저한 보편적 가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등록 연기를 권고했다.[38] 그러나 일본 정부와 시마네현은 이에 굴하지 않고 유네스코 정부대표부를 통해 위원회 구성국 대사 및 전문가에게 110페이지 분량의 영문 보충 자료를 전달하며 이와미 은광의 등록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알렸다.[39] 특히, 좁은 갱도를 파서 채굴하는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을 강조했다.[39]

결국 2007년 6월 28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개최된 제31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와미 은광은 만장일치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40] 이는 일본의 산업유산 중 최초의 세계유산 등재였다.

이와미 은광의 등재에는 콘도 세이이치 유네스코 대사의 노력이 컸다. 그는 2007년 9월 8일 시마네현 오다시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은광 주변의 자연이 등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각국 정부 대표들에게 이와미 은광에서 벌목한 만큼 나무를 심는 등 자연을 고려한 역사를 적극적으로 설명했고, 이는 대표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43]

이와미 은광은 지속 가능한 벌목 관리로 인해 삼림 벌채와 토양 침식이 적었고, 토양 및 수질 오염도 적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6] 또한 채굴, 제련, 운반, 반출이라는 산업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점도 인정받았다.[44]

4. 2. 등록 기준

이와미 은광은 지속 가능한 벌목 관리로 삼림 벌채와 토양 침식이 적었고, 토양 및 수질 오염도 적었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아 200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2] 또한, 같은 해 일본의 100대 지질 명소로 선정되었다.

4. 3. 주요 유산

銀山柵内일본어 광산 지역은 약 600개의 광산 및 갱도가 있는 이와미 은광의 채광 지역이다. 16세기에 광산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된 세 개의 역사적 성곽과 은을 운송하기 위한 세 개의 항구, 연결 교통로도 주요 유산에 포함된다.[4]

유산명설명이미지
오모리 은광중요 전통적 건축물 군 보존 지구(Ōmori-Ginzan, 1246-001f)
대관소 터(이시미 은산 자료관) (Daikansho Site, 1246-001b)--
중요문화재쿠마가이 가 저택 (House of the Kumagai Family, 1246-001h)--
라칸지 오백라칸 (Rakan-ji Gohyakurakan, 1246-001i)
미야노마에 지구 (Miyanomae, 1246-001g)
야타키성 터 (Yataki-jô Site, 1246-001c)
야하즈성 터 (Yahazu-jô Site, 1246-001d)
이와미성 터 (Iwami-jô Site, 1246-001e)
도모가우라도 (Iwami Ginzan Kaidô Tomogauradô, 1246-002a)
온센즈오키도마리도 (Iwami Ginzan Kaidô Yunotsu-Okidomaridô, 1246-002b)
도모가우라(鞆ヶ浦)(Tomogaura, 1246-003a)
오키도마리(沖泊)(Okidomari, 1246-003b)
온센즈(温泉津)중요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Yunotsu, 1246-003c)
이와미 은산 처형장(石見銀山処刑場)
천인호(千人壷)
동지장(胴地蔵)
사람베는 바위(人切岩)


  • 은산책내(Ginzan Sakunouchi, 1246-001a)
  • 센노야마·센노야마 성곽군
  • 혼타니마보 군…오쿠보마보·가마야마보·킨세이코 등
  • 오타니마보 군…류겐지마보 등
  • 시미즈타니마보 군…시미즈타니 제련소와 트럭 궤도 터
  • 야스하라타니마보 군
  • 오베니가타니마보 군
  • 이시긴마보 군·이시긴 마을 터
  • 콤부야마타니마보 군
  • 야마부키성 터
  • 사비메야마 신사


이 외에도 관련 가공 시설, 행정 시설, 주거 시설 및 종교 시설이 있다. 초기에는 선노산(별칭: 은봉산) 정상 부근에서 은광석 노두 채굴이 이루어졌고,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광맥을 따라 지하 깊숙이 채굴되었다. 에도 시대의 채굴로 양질의 은광석이 고갈되어 후대에는 황동광, 황철광, 방연광 등 광석을 주체로 하는 '''영구광상'''(えいきゅうこうしょう) 채굴로 이행하였다.

5. 문제점 및 과제

이와미 은광은 개발 과정과 세계유산 등재 이후 여러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광산 노동이와미 은광에서는 비소가 함유된 비석이 채석되지 않았지만, 인근 사사가다니 은광에서는 구리 채굴 과정에서 비석이 함께 나왔다. 비석은 맹독성 삼산화 비소를 포함하여 살서제로 사용되었는데, 판매상들은 이와미 은광의 이름을 도용하기도 했다.

금과 은 정련에는 회취법이 사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광부들에게 급성 또는 만성 납중독을 일으켰다. 갱도 내의 열악한 환경, 슬래그와 분진 또한 광부들의 건강을 악화시켜 평균 수명이 30세 정도에 불과했다.

1853년, 이와미 은산 대관 야시로 마스노스케 타다요시는 나카무라 코운에게 광산병 대책을 의뢰했다.[35] 나카무라 코운은 의사 미야 타이주와 함께 광산병을 조사하고, 1857년에 「제생비언」을 통해 예방 대책을 제시했다.[35] 이 책에는 방호용구인 복면(마스크)과 환기 시설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5]
환경 문제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이와미 은산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하여, 광독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국도 9호선 정비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등에 유의할 것을 지적했다.[46] 또한, 은산 가도(銀山街道)의 일부 구간이 도로 정비로 파괴되기도 했다.[47]
세계유산 등재 이후의 과제2008년 이와미 은산 세계유산 센터가 설치되어 방문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976년에 개관한 이와미 은산 자료관은 2022년 리뉴얼 오픈하여 이와미 은산 대관이었던 이토 헤이자에몬 마사아키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50]

세계유산 등재 이후 관광객이 급증했지만, 관광 공해 문제가 발생했고, 이후 관광객 감소로 이어져 관광 진흥과 지역 생활의 균형 문제가 과제로 떠올랐다.[60]

P&R(Park and Ride)과 같은 환경 부하가 적은 관광 모델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62][63] 환경 친화적인 이동 수단 도입도 추진되고 있다.


  • 마차형 전기자동차: 시마네 대학 등에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64][65]
  • 베로택시: 2020년 3월 영업을 종료했다.[62][64][66]
  • 자전거 대여: 오모리 대관소 앞 등에서 이용 가능하다.[62]


2012년 "세계유산과 지속가능한 개발: 지역 사회의 역할"(교토 비전)에서 세계유산 유지를 위한 공동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67] 오다시(大田市)에서는 세계유산 등록 이후 U턴·I턴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68] 2015년에는 이주하고 싶은 마을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방문객 수 감소, 숙박 시설 부족, 경관 보호 조례로 인한 신규 점포 건축 제한 등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69]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NPO법인 설립과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72][73]

오쿠보 간보 입구


류겐지 간보는 연중 공개되고 있으며, 오쿠보 간보는 주말 투어 형식으로 공개되고 있다.[74] 그러나 교통 불편으로 인해 관광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75]

한편, 오모리정(大森町)은 2010년대부터 젊은층 이주가 증가하고 있다.[76]

5. 1. 광산 노동

이와미 은광에서 은을 채굴할 때는 비소가 함유된 비석이 채석되지 않았지만, 같은 이와미 국에 있는 사사가다니 은광에서는 구리를 채굴할 때 비석도 함께 나왔다. 비석은 맹독성 삼산화 비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잘게 갈아 살서제로 사용되었다. 이 살서제 판매상들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이와미 은광의 이름을 사용해 판매했다.

금과 은을 정련할 때는 회취법 기술이 사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를 흡입한 광부들은 급성 또는 만성 납중독에 걸렸다. 또한, 갱도 내의 물, 고온다습한 환경, 슬래그와 분진 등 열악한 환경도 광부들의 건강을 악화시켜, 당시 광부의 평균 수명은 30세 정도였다. 광부들의 가족은 대부분 독신이거나 부부뿐이었다고 전해진다.

2015년 현재, 은광 채굴을 위해 파낸 ‘마부’라 불리는 갱도와 배수갱이 700여 개 확인되었다. 주요 갱도로는 카마야마부(釜屋間歩), 류겐지마부(龍源寺間歩), 오오쿠보마부(大久保間歩), 영구갱도 등이 있다. 오오쿠보마부는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오오쿠보 나가야스가 창을 들고 말을 탄 채로 들어갈 수 있었다고 한다.[34] 오오쿠보마부 아래쪽에 위치한 금생갱은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배수갱도이며, 오오쿠보마부 내부에서 금생갱으로 통하는 계단을 볼 수 있다. 오오쿠보마부는 갱도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통로로도 사용되었고, 산을 넘어 반대편 학교에 통학하는 어린이들의 통학로가 되기도 했다. 오오쿠보마부는 에도 시대에는 손으로 팠지만, 나중에 드릴을 사용하여 갱도가 확장되었고, 목제 레일이 깔려 광석을 운반하는 데 손수레가 사용되었다. 카마야마부는 오오쿠보마부보다 더 위쪽에 위치한 갱도로, 안하라 덴베에가 개발했다고 한다. 주변에서는 현장에서 제련을 한 유적도 발굴되었다. 이러한 갱도들은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장 깊은 곳은 영구갱도의 해발 400m 지점에서 200m 더 파 들어간 갱도가 확인되었다. 정상 부근에는 노두를 판 흔적과 마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당시 고가였던 해외산 도자기 파편 등이 발굴되었다. 갱도에서 운반된 광석 중 불필요한 돌(즈리, ズリ)은 주변 계곡을 메워 평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전등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소라껍데기에 채종유를 채운 등불인 라토(らとう, 螺灯)가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 소라껍데기를 사용한 등불은 오다 시의 마스코트 캐릭터, 라토짱의 디자인에도 사용되고 있다.

1853년(가에이 6년) 10월, 이와미 은산 제56대 대관에 취임한 야시로 마스노스케 타다요시는 비젠국 갓사카시의 본초가인 나카무라 코운에게 광산병 대책을 의뢰했다.[35] 나카무라 코운은 1855년(안세이 2년) 4월, 갓사카의 서양 의학 의사인 미야 타이주와 함께 오모리에 가서 광산병 조사와 대책에 임하여 1858년(안세이 5년) 6월까지 체류했다.[35] 그 대책을 정리한 책이 「제생비언」이다.[35] 「제생비언」에서는 「갱독종성」과 「치술기계」로 나누어 질병의 원인과 환기 등에 의한 정화 대책을 설명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대광부족, 섭생실도」 등 광부의 건강 관리를 포함한 예방적인 종합 대책을 제창하여 획기적인 것이었다.[35] 「제생비언」에는 방호용구인 복면(마스크)으로서 「복면부매육공험」이 기록되어 있다.[35](매실 육을 섞은 「복면」이라고 불리는 마스크). 은 채굴이 활발했던 시대부터 매실나무가 많이 식재되어 오모리 마을의 경관의 특징이 되고 있다.[51] 그 후, 통기관 완성 포상으로 1857년(안세이 4년) 5월에 미야 타이주 등에게 포상이 주어졌다.[35]

「제생비언」은 1857년(안세이 4년) 10월에 야시로 마스노스케로부터 어간정소를 통해 로쥬에게 보고되었고, 사도 등 다른 금은동산에도 소개되었다.[35] 치료로서 에도 시대의 각종 시약이 효과를 얻었다고 생각하기는 어렵지만, 예방법으로서 「제생비언」에서 제시된 국소 배기 장치의 보급(환기)이나 호흡용 보호구의 착용(마스크)은 후세의 분진 장애 예방 종합 대책과 통하는 바가 있어 선견지명이 지적된다.[35]

5. 2. 환경 문제


  • 이와미 은광에서 은을 채굴할 때는 비소가 함유된 비석이 채석되지 않았지만, 같은 이와미 국에 있는 사사가다니 은광에서 구리를 채굴할 때 비석도 함께 채석되었다. 비석은 맹독성 비소화합물인 삼산화 비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잘게 갈아 살서제로 사용하였다. 이 살서제 판매상들은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이와미 은광의 이름을 사용해 판매하였다.
  • 금은 정련에는 회취법 기술이 사용되었고, 정련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를 흡입한 광부들은 급성 또는 만성 납중독에 걸렸다. 또한, 갱도 내의 출수, 고온다습, 슬래그와 분진 등의 열악한 환경도 한몫하여 당시 광부의 평균 연령은 30세 정도였다. 광부들의 가족구성은 대개 독신이거나 부부뿐이었다고 전해진다.
  •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이와미 은산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하여, 문화적 경관에 대한 추가 조사 및 보호 체계 확립, 관광지화 대책, 발굴되지 않은 고고학 유적 조사 및 수목으로 뒤덮인 유적의 보존, 현재도 자연 유출되는 광독에 의한 환경오염(주로 수질생태계에 대한 영향), 국도 9호선(니마·이와미 은산 나들목 정비에 따른 영향(환경영향평가) 등에 유의할 것을 지적했다.[46]
  • 은산 가도(銀山街道)의 온센즈 오키토마도(温泉津沖泊道)에서 온센즈(温泉津)로 가는 도중에 위치하며 돌 paving이 깔린 나시노기사카(梨ノ木坂)가 2008년 니마온센즈도로(仁摩温泉津道路) 정비에 따라 파괴되어 소멸했다.[47] 해당 유적 주변은 멸종위기종참매·흰꼬리수리·말똥가리의 서식지이기도 했다.[48]

5. 3. 세계유산 등재 이후의 과제

세계유산 조약 제5조에 따라, 2008년 10월 20일에 '''이와미 은산 세계유산 센터'''가 설치되었다. 이 센터는 방문객들에게 유산에 대한 정보와 설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1976년에 개관한 '''이와미 은산 자료관'''은 2022년 4월 1일에 전시 내용을 재검토하여 리뉴얼 오픈했다. 이 자료관은 이와미 은산 대관이었던 이토 헤이자에몬 마사아키를 중심으로 전시하며, "고구마 대관 박물관"이라는 애칭을 사용한다.[50]

2018년 시마네현 서부 지진으로 인해 사비메야마 신사(佐毘売山神社)의 코마이누(狛犬) 받침대와 다이안지(大安寺) 터의 돌담 일부가 붕괴되는 등 유적지 내 12곳에서 피해가 발생했다.[52][53]

2004년 6월, 주민과 관이 함께 이와미 은산 유적의 보전과 활용을 논의하는 이와미 은산 협동회의가 개최되었다. 주민들은 세계유산 등재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면서도, 관광지화에 따른 생활 환경 변화를 우려했다. 2005년에는 관민 연계를 위한 "이와미 은산 유지·보전 활동 연락회"가 조직되었고, 민간 단체 주도로 청소 활동 등이 이루어졌다.[55] ICOMOS의 등재 연기 권고 직후인 2007년 5월, 콘도 세이이치(近藤誠一) 유네스코 대사는 현지 주민들의 세계유산 등재 열의를 확인했다.[56]

세계유산 등재 이후 2008년에는 관광객 수가 81만 명에 달했지만,[59] 관광객 급증으로 인한 관광 공해 문제가 발생했다. 버스 진입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졌으나, 관광객 감소라는 결과를 초래하여 관광 진흥과 지역 생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60] 지역 관련 단체는 가이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광객 수를 30만~40만 명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61]

이와미 은산은 환경을 중시했던 광산으로 평가받았기에, P&R(Park and Ride)과 같이 환경 부하가 적은 관광 모델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2][63]

환경 부하가 적은 이동 수단 도입도 추진되고 있다.

  • 마차형 전기자동차: 시마네 대학 등이 시제품을 제작했으며, 2013년 시승회를 거쳐 실용화될 예정이다.[64][65]
  • 베로택시: 은산공원에서 룡원사 간보(龍源寺間歩)까지 운행했으나, 2020년 3월 영업을 종료했다.[62][64][66]
  • 자전거 대여: 오모리 대관소 앞이나 오모리 버스 정류장에서 대여할 수 있다.[62]


2012년 "세계유산과 지속가능한 개발: 지역 사회의 역할"(교토 비전)에서 세계유산 유지를 위한 공동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67] 이와미 은산이 있는 오다시(大田市)에서는 세계유산 등록 이후 U턴·I턴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68] 보물섬사(宝島社)의 『시골살이 책(田舎暮らしの本)』(2015년 2월호)에서 이주하고 싶은 마을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와미 은산은 방문객 수가 감소하고 있고, 숙박 시설 부족으로 당일치기 관광객이 많아 체류형 관광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69] 이주자는 증가하지만 관광 관련 취업률은 낮다. 완충 지역 내에서는 경관 보호 조례[70]로 인해 새로운 점포 건축이 제한되어 문화 순환·자본 순환이 확립되지 않았다. 지진 발생 시에는 간보(間歩) 붕괴는 없었지만, 출입 금지 조치로 인해 투어 취소가 잇따랐다.[71]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NPO법인을 설립하여 관광 방식을 모색하고 있으며,[72] 지속가능한 관광의 일환으로 관광객에게 대나무 벌채 등의 역할을 부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73]

류겐지 간보는 연중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2008년부터 오쿠보 간보도 주말 투어 형식으로 공개되고 있지만, 예약이 필요하며 겨울에는 박쥐 보호를 위해 운영되지 않는다.[74]

이와미 은산 공원에서 류겐지마보(龍源寺間歩)까지는 2.3km 떨어져 있으며,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여 도보, 유료 자전거, 베이로택시만 이용 가능하다. 교통 불편으로 인해 2008년 81만 명이던 관광객 수는 2016년 약 30만 명으로 감소했다.[75]

한편, 오모리정(大森町)은 2010년대부터 젊은층 이주가 증가하여 2012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32세대가 전입했다.[76]

참조

[1] 서적 Geological Survey of Japan https://books.google[...]
[2] 뉴스 Iwami picked as World Heritage site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07-06-00
[3] 웹사이트 Historic Silver Mine of Iwami Ginzan https://whc.unesco.o[...]
[4] 웹사이트 Iwami Ginzan Silver Mine (Japan) https://whc.unesco.o[...] UNESCO 2015-02-13
[5] 웹사이트 Nomination of The Iwami Ginzan Silver Mine and its Cultural Landscape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UNESCO 2015-02-13
[6] 서적 石見銀山とその文化的景観 島根県教育委員会
[7] 서적 世界史の中の石見銀山 祥伝社新書
[8] 간행물 精強軍団と゛銀と鉄"
[9]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大田市三十周年記念誌編さん事務局
[10] 문서 これは山頂に露頭した自然銀が月光に反射したものであると考えられている
[11] 서적 世界史の中の石見銀山 祥伝社新書
[12] 문서 灰吹法の伝播経路は、中国由来説と朝鮮由来説がある。 東京大学出版会
[13]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14] 서적 仁摩町誌 仁摩町誌編纂委員会
[15] 간행물 精強軍団と゛銀と鉄"
[16] 서적 仁摩町誌
[17] 서적 日本鉱山史の研究 岩波書店
[18] 전시회 輝きふたたび 石見銀山展 島根県立古代出雲歴史博物館、石見銀山資料館
[19] 웹사이트 石見銀山 http://www.v-museum.[...] 2013-08-17
[20] 서적 石見銀山―戦国の争乱・鉱山社会・天領― 石見銀山資料館
[21]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22] 서적 仁摩町誌
[23] 서적 温泉津町誌(中巻) 温泉津町誌編さん委員会
[24] 서적 石見銀山―戦国の争乱・鉱山社会・天領― 石見銀山資料館
[25] 서적 仁摩町誌
[26] 뉴스 石見銀山の営み(5)地の恵み 銀生産支えた石見の鉄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社 2008-06-23
[27] 뉴스 石見銀山標本発見 説明用か技能伝承用か? 鉱山の経営実態判明に期待 資料館の仲野義文館長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7-05-19
[28] 웹사이트 神様になった名代官・川崎平右衛門を歩こう! http://www.kitani-wa[...] 2015-09-22
[29] 서적 温泉津町誌(中巻)
[30] 서적 石見銀山―戦国の争乱・鉱山社会・天領― 石見銀山資料館
[31] 서적 目で見る石見の100年 郷土出版社
[32] 서적 石見銀山―戦国の争乱・鉱山社会・天領― 石見銀山資料館
[33]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34] 웹사이트 大久保間歩 http://www.visit-ohd[...] 大田市観光協会 2011-12-10
[35] 학술지 済生卑言:石見銀山鉱山病対策「済生卑言」の用語と構成 https://doi.org/10.3[...] 日本薬史学会
[36] 웹사이트 石見銀山の歴史略年表 http://ginzan.city.o[...] 石見銀山世界遺産センター 2011-12-09
[37] 웹사이트 石見銀山(いわみぎんざん)の由来 http://www.chugoku-g[...] 中国地質調査業協会 2011-12-09
[38] 웹사이트 イコモス評価書の概要判明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 2007-05-19
[39] 웹사이트 「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景観」の評価・審査をめぐって http://www.pref.shim[...] 島根県教育委員会 2011-12-10
[40] 웹사이트 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背景 http://ginzan.city.o[...] 石見銀山世界遺産センター 2012-03-04
[41] 웹사이트 Is Unesco damaging the world's treasures?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9-04-28
[42] 문서 中村俊郎は島根県教育員会委員長を務め、2012年には学識者で構成される文化庁文化審議会世界文化遺産・無形文化遺産部会の専門委員に有識者として民間人から唯一選任された
[43] 웹사이트 銀山登録の秘話、大使が語る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2007-09-09
[44] 서적 世界遺産年報2008
[45] 웹사이트 島根県:石見銀山(遺跡)とは(石見銀山の概要) https://www.pref.shi[...] 2019-08-14
[46] 서적 すべてがわかる世界遺産大辞典 上 마이너비 출판
[47] 웹사이트 梨ノ木坂遺跡 https://iseki.shiman[...] 2016-06-11
[48] 웹사이트 一般国道9号仁摩(にま)温泉津(ゆのつ)道路及び浜田三隅道路に係る環境影響評価書に対する環境大臣意見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env.go.j[...] 환경성 2016-06-11
[49] 웹사이트 世界遺産「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景観」に係る資産範囲の軽微な変更について http://www.bunka.go.[...] 문화청 2015-08-22
[50] 웹사이트 いも代官ミュージアム(石見銀山資料館) https://igmuseum.jp/
[51] 웹사이트 大森銀山重要伝統的建造物群保存地区(全体)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24-05-01
[52] 뉴스 世界遺産・石見銀山遺跡が被害…島根震度5強 https://web.archive.[...] 2018-04-11
[53] 뉴스 世界遺産・石見銀山に被害 遺跡内12カ所で石垣崩れる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사 2018-04-11
[54] 웹사이트 石見銀山遺跡の保全や活用策 官民一体で探る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 2004-06-27
[55] 웹사이트 石見銀山遺跡ニュース Vol.11 http://ginzan.city.o[...] 島根県大田市教育委員会 2011-12-10
[56] 웹사이트 ユネスコ近藤大使 「延期」逆転へ最善の努力断言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 2007-05-29
[57] 웹사이트 世界遺産登録1周年記念でクリーン銀山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 2008-07-07
[58] 학술지 Why Wikipedia Is as Important as the Pyramids http://www.wired.com[...] 2011-12-10
[59] 웹사이트 石見銀山の観光客3割減 http://www.sanin-chu[...] 山陰中央新報 2010-04-08
[60] 웹사이트 世界遺産は楽じゃない 騒音やゴミで「観光公害」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11-06-21
[61] 웹사이트 「沖縄における観光振興に向けた世界遺産活用戦略検討調査」報告書 http://www.ogb.go.jp[...] 남서 지역 산업 활성화 센터
[62] 웹사이트 石見銀山の魅力徹底ガイド http://www.kankou-sh[...] 시마네 관광 내비 2013-10-11
[63] 웹사이트 世界遺産「石見銀山遺跡」を未来へ http://www.pref.shim[...] 시마네 현 2013-10-11
[64] 뉴스 EV:“電気馬車”いいかも! 島大など開発、石見銀山で試乗会 /島根 http://mainichi.jp/a[...] 마이니치 신문사 2013-10-09
[65] 뉴스 石見銀山で馬車型電気自動車の試乗会 http://www.sanin-chu[...] 산인 중앙 신보사 2013-10-08
[66] 웹사이트 ベロタクシー終了(3月末)のお知らせ {{!}} 島根県大田市観光サイト https://www.ginzan-w[...] 2024-07-04
[67] 웹사이트 京都ビジョン https://www.mofa.go.[...] 외무성 2018-04-05
[68] 웹사이트 人口集計 http://www.city.ohda[...] 오다 시 2018-04-05
[69] 웹사이트 石見銀山観光収入 1割増の81億円 http://www.sanin-chu[...] 산인 중앙 신보 2008-03-08
[70] 웹사이트 石見銀山景観保護条例 http://www.iwamigin.[...] 오다 시 2018-04-05
[71] 웹사이트 石見銀山観光に打撃 ツアーキャンセル、公開中止…「島根で大きな地震起こるとは思ってなかっ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4-11
[72] 웹사이트 ~サステイナブル・ツーリズムの実現に向けて 環境市民5団体に助成~JATA環境基金 平成19年度助成事業決定 https://www.jata-net[...] 日本旅行業協会 2007-04-09
[73] 웹사이트 世界遺産を活用した観光振興のあり方に関する研究 http://www.jterc.or.[...] 運輸政策審議会 2018-04-15
[74] 웹사이트 石見銀山大久保間歩一般公開限定ツアー http://www.iwami.or.[...] 石見観光 2011-12-10
[75] 뉴스 インバウンド、聖地、秘境…でも「がっかり観光地」 https://www.yomiuri.[...] 讀賣新聞 2018-04-10
[76] 웹사이트 「ベビーラッシュで待機児童も」人口400人の町に若者が続々移住するワケ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2024-05-01
[77] 신문기사 銀山の女の魂時超え 中日新聞 2022-10-15
[78] 방송 世界遺産がやってくる ~復興?混乱?・・・町は変わるか~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8-08-26
[79] 논문 衛生化学分野における中性子放射化分析法を利用した元素の定量 https://www.pref.kan[...] 神奈川県衛生研究所 2010
[80] 웹사이트 日文研共同研究会 『世界遺産“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景観”-歴史文化資源の探求と活用-』を開催します https://igmuseum.jp/[...]
[81]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오다 시 30주년 기념지 편찬사무국 1983
[82] 서적 중세 해외교섭사 연구 도쿄대학출판회 1959
[83]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1983
[84] 서적 일본 광산사 연구 이와나미 쇼텐 1968
[85]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1983
[86] 서적 온천진정지 유노쓰 정지 편찬위원회 1995
[87] 서적 니마 정지 1972
[88] 서적 온천진정지 1995
[89] 서적 이와미 은광-전국 쟁란, 광산사회, 천령 1988
[90] 문서 메이지 유신 이후 설치된 정부 최고기관이다. 1885년 내각제도가 발촉되어 다조칸은 폐지되었다.
[91] 서적 눈으로 보는 이와미 100년 교도출판사 1999
[92] 서적 大田市三十年誌 1983
[93] 신문기사 은광 등록비화 대사가 말한다.(銀山登録の秘話、大使が語る) 주고쿠 신문 2018-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